EC2란
EC2 : Elastic Compute Cloud
EC2 는 AWS 에서 제공하는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다.
이 서비스를 통해서 아마존이 각 세계에 구축한 데이터 센터의 서버용 컴퓨터들의 자원을 원격으로 사용할 수 있다. AWS 가 제공한느 URL(Public DNS)를 통해 이 컴퓨터에 접근할 수 있다.
EC2의 장점
- 하드웨어 비용 절감
- 애플리케이션을 더욱 빠르게 개발하고 배포할 수 있음
- 원하는 수의 가상 서버를 구축 가능
- 용량을 늘리거나 줄일 수 있음
- 용량을 추가하여 월간 또는 연간 프로세스 또는 웹 사이트 트래픽 급증 등 컴퓨팅 사용량이 많은 작업을 처리할 수 있음
- 사용량이 감소하면 용량을 다시 축소할 수 있음
- 보안 및 네트워킹을 구성하며 스토리지를 관리 할 수 있음
EC2 생성방법
- 인스턴스 시작
인스턴스는 가상 서버. - Amazon Machine Imae(AMI) 선택
AMI 는 서버에 필요한 구성 요소(운영 체제와 추가 소프트웨어 포함)를 패키징하는 인스턴스용 사전 구성 템플릿.
(우분투 정보 많음, 버전 확인해야 함)
- 인스턴스 유형
인스턴스의 다양한 CPU, 메모리, 스토리지, 네트워킹 용량 및 그래픽 하드웨어 구성.
(이때 필자는 학생으로 프리티어 지원되는 것을 사용) - 키페어
인스턴스에 대한 보안 로그인 정보. AWS는 퍼블릭 키를 저장하고 사용자는 프라이빗 키를 안전한 장소에 저장합니다.
pem키로 발급해줌. 이때 공개범위 설정을 해줘야 함. 관련 오류들이 났었는데 이것도 정리해야지 ..
- 네트워크
나머지는 디폴트 설정된 대로 설정 후 ec2를 만들면 된다~ 후에 VPC 와 서브넷에 대한 정리도 해야지 ..
이때 IP가 자동할당되는데, EC2를 껐다킬때마다 IP 주소가 바뀌게 된다.
이를 탄력적 IP 주소로 고정할 수 있다. 탄력적 IP 주소 만들고 연결해주기만 하면 됨!
위 단계를 통해 EC2를 생성할 수 있다.
EC2 원격 접속 (VSCode)
- VS Code를 연 후 Extension에서 Remote - SSH를 받아줌
- F1 키를 눌러서 ssh Open!
- config 파일 열어서 아래 정보 설정
Host [연결할 EC2 별명] HostName [공개 IP 주소] User [AMI, ubuntu] IdentityFile [EC2 접속시 필요한 .pem 키의 위치]
- connect to host
- 원격 접속 후 배포를 진행하면 됩니다
iterm을 이용한 원격 접속
매번 visual studio 에서 ssh 로 접속했었는데 더 간단한 방법이 있다.
iterm에서 profile 에서 profiles > open profiles 후
edit profiles 후
edit profiles에서 command로
aws에서 연결에 있는 ssh -i pem 키 위치 설정 후 복붙하면 된다.
참고자료
https://docs.aws.amazon.com/ko_kr/AWSEC2/latest/WindowsGuide/concepts.html
Amazon EC2란 무엇인가요? - Amazon Elastic Compute Cloud
이 페이지에 작업이 필요하다는 점을 알려 주셔서 감사합니다. 실망시켜 드려 죄송합니다. 잠깐 시간을 내어 설명서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에 대해 말씀해 주십시오.
docs.aws.amazon.com
틀린 것이나 추가할 사항 있으면 댓글 부탁드려요 🎀
'DevOp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에러해결] CDN 주소를 찾지 못함 (0) | 2024.10.23 |
---|---|
Github actions와 Docker로 CI/CD 구축 (0) | 2024.06.22 |